한국엔지니어링협회에 올라온 2016년 엔지니어링 노임단가를 올려봅니다.
업무에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.
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조사 분류체계 개선 및 결과 공표
|
□ 한국엔지니어링협회(회장 이재완)는 신고된 4,365개사를 대상으로 엔지니어링기술자의 임금실태를 3개월간(9.01.~11.30.) 조사하여, 그 결과를 공표함
ㅇ 공표된 7개 기술부문별 노임단가는 엔지니어링사업 대가기준에 따라 내년 발주되는 신규사업 추진시 참여기술자의 노임단가로 책정에 활용될 예정
ㅇ 임금실태조사에 앞서, 기술부문별 노임단가 현실화를 통해 적정대가가 지급될 수 있도록, 분류체계를 기존 3개 분류에서 7개 분류로 변경함
* 3개 분류(원자력발전, 산업공장, 건설 및 기타) → 7개 분류(기계/설비, 전기, 정보통신, 건설, 환경, 원자력, 기타)
ㅇ 또한, ‘15년 이전에 발주된 계속사업의 경우에 대해서도 노임단가 책정에 참고하도록 3개 분류별 임금현황에 대해 한시적으로 병행공표
□ 임금실태조사는 통계청에 승인을 거쳐 매년 임금현황을 조사하여, 그 결과를 엔지니어링사업대가 기준에 따라 엔지니어링사업 추진시 참여기술자의 노임단가로 적용될 수 있도록 조사․공표하는 것임
| < 임금실태조사 개요 > |
|
|
| |
▪ 조사임금:2015년 7월 만근한 기술자의 실지급 임금 ▪ 조사근거 :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제7조 및 동 시행령 제15조(실태조사), 통계법 제15조, 제18조 ▪ 구성항목:기본급, 제수당, 월간상여금등, 월간퇴직급여충당금, 월간사회보험료(회사부담분) ▪ 조사기간 : 2015년 9월 01일 ~ 2015년 11월 30일 ▪ 자료수집방법 : 우편조사, 이메일, 온라인 조사 ▪ 공표적용일 : 2016. 1. 1부터 |
□ 이번 조사결과, 2015년 엔지니어링기술자의 노임단가는 전년대비 2.5%상승하였으며, 모든 기술등급에서 전반적으로 임금이 소폭 상승것으로 나타남
□ 참고로, ‘15년도 공표되는 7개 기술부문별 임금현황은 아래의 표와 같음
<기술부문별 임금현황>
(단위 : 원)
2015년 | 기계/설비 | 전기 | 정보통신 | 건설 | 환경 | 원자력 | 기타 |
기술사 | 362,508 | 358,692 | 343,430 | 348,160 | 357,318 | 469,203 | 321,854 |
특급기술자 | 312,387 | 277,366 | 241,254 | 264,306 | 263,145 | 426,888 | 255,025 |
고급기술자 | 247,763 | 223,803 | 219,797 | 209,485 | 204,180 | 298,148 | 218,132 |
중급기술자 | 200,366 | 177,160 | 176,287 | 190,910 | 183,703 | 257,578 | 184,257 |
초급기술자 | 171,713 | 179,163 | 153,175 | 149,647 | 150,977 | 202,770 | 150,083 |
고급숙련기술자 | 189,033 | 189,379 | 169,625 | 175,906 | 159,267 | 261,220 | 161,120 |
중급숙련기술자 | 170,126 | 168,064 | 153,762 | 148,700 | 140,660 | 227,626 | 143,957 |
초급숙련기술자 | 157,450 | 142,866 | 125,508 | 128,933 | 133,165 | 134,872 | 132,161 |
'안전진단(토목) > 업무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엔지니어링협회] 2019년도 적용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표 (0) | 2019.02.28 |
---|---|
[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] 제4조 관련 : 제1종시설물 및 제2종시설물의 종류 (0) | 2019.02.26 |
[한국엔니지어링협회] 2018년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표 (0) | 2017.12.28 |
[한국엔지니어링협회] 2017년 적용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 (0) | 2017.01.08 |